다음은 실존주의 철학의 전개를 역사적 맥락과 대표 사상가, 저서 중심으로 정리한 표입니다.
시기/흐름 | 주요 사상 | 대표 인물 | 주요 저서 | 핵심 내용 |
---|---|---|---|---|
전사상 | 고대 스토아 철학 | 세네카,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| 《명상록》 | 덕과 내적 자유 강조 |
기독교 신학 철학 | 아우구스티누스, 토마스 아퀴나스 | 《고백록》, 《신학대전》 | 신과 인간의 관계, 영원한 의미 | |
근대 합리주의 | 데카르트, 스피노자 | 《성찰》, 《윤리학》 | 이성과 논리로 세계 설명 | |
계몽주의 | 볼테르, 루소 | 《사회계약론》 | 인간 이성과 진보 신뢰 | |
독일 관념론 | 칸트, 헤겔 | 《순수이성비판》, 《정신현상학》 | 이성에 의한 세계 구조 이해 | |
실존주의 형성기 | 개인의 주관적 진리 강조 | 키에르케고르 | 《죽음에 이르는 병》 | 절망, 신 앞에서의 결단 |
절대 가치 붕괴 선언 | 니체 | 《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》 | 신은 죽었다, 초인 사상 | |
실존주의 전성기 | 존재론적 실존 분석 | 하이데거 | 《존재와 시간》 | 죽음을 향한 존재, 세계-안-존재 |
무신론적 실존주의 | 사르트르 | 《존재와 무》 |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, 자유와 책임 | |
부조리 철학 | 카뮈 | 《이방인》, 《시지프 신화》 | 의미 없는 세계 속의 태도 | |
후사상 | 해석학적 철학 | 가다머, 리쾨르 | 《진리와 방법》 | 역사·언어 속의 의미 이해 |
포스트모더니즘 | 푸코, 데리다 | 《감시와 처벌》, 《그라마톨로지》 | 절대적 진리 부정, 다원성 강조 | |
실존 심리학 | 빅터 프랭클 | 《죽음의 수용소에서》 | 고통 속 의미 발견 |
핵심 요약
- 실존주의는 근대 합리주의·관념론의 이성 중심 철학에 대한 반발에서 출발.
- 19~20세기 전쟁, 가치 붕괴, 산업화로 개인의 고독·불안이 철학 중심 주제로 부상.
- 대표 사상가: 키에르케고르, 니체, 하이데거, 사르트르, 카뮈.
- 이후 포스트모더니즘, 해석학,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로 영향 확산.